2024년 서울 기후동행카드 정보 요약

서울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개요

  • 사업 기간: 2024년 1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 이용 범위: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공공자전거)
  • 카드 가격: 62,000원(따릉이 제외), 65,000원(따릉이 포함).

기후동행카드의 목적 및 혜택

  • 목적: 기후위기 대응 및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 경감
  • 혜택: 서울 시내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및 따릉이 무제한 이용.

추가 정보

  • 판매 시작일: 2024년 1월 23일부터 모바일카드 및 실물카드 판매 예정.
  • 카드 사용 방법: 사용 시작일부터 30일간 유효. 사용 기간 만료 전 잔액 환불 가능.

서울시의 입장

  • 서울시는 코레일과 함께 기후동행카드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최종 점검 중.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구간은 코레일이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2024년 1월 27일부터 시범사업 참여 예정.

이 정보는 2024년 1월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공식 웹사이트나 관련 뉴스 업데이트를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후동행카드 23일 판매 시작! 27일 사용 시작! | 서울시 - 내 손안에 서울 (seoul.go.kr)
 


2024년 설 민생 안정 대책 요약

농축수산물 할인 및 공급 확대

  • 할인 지원: 정부는 840억 원을 투입하여 농축수산물 할인율을 최대 60%까지 높인다​​​​.
  • 성수품 공급: 16대 성수품을 역대 설 최대 규모인 25만 7000톤 규모로 공급할 예정이며, 사과와 배는 가격 상승률을 한 자릿수로 관리하기 위해 공급을 대폭 늘린다​​​​.

온누리상품권 활용 및 전통시장 지원

  • 온누리상품권: 개인 월 구매한도를 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전통시장에서 구매 시 구매금액의 30%를 2만 원 한도 내에서 환급하는 행사를 확대한다​​.

취약 계층 및 소상공인 지원

  • 전기요금 할인 연장: 취약 계층에 대한 전기요금 인상분을 1년 더 유예한다​​.
  • 영세 소상공인 지원: 전기요금 감면, 저리 대환대출 신설, 숙박 쿠폰 배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국내 관광 활성화

  • 2월을 '여행가는 달'로 추가 지정하고 비수도권 대상으로 숙박 쿠폰 20만 장을 배포한다​​.

기타 대책

  •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공공기관 주차장 무료 개방, 비대면 진료 허용 등 다양한 민생 지원 대책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책들은 2024년 설 명절을 앞두고 물가 안정 및 민생 경제 안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각종 할인 및 지원 조치들은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대책은 정부의 민생 안정화 노력을 반영하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 농축수산물 할인에 840억 지원 '역대 최대'…설 민생안정대책 발표 (tvchosun.com)
설 성수품 최대 규모 풀린다... 사과·배가격 최대 60% 할인 [설 민생안정 대책]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취약가구 전기료 할인, 1년 더 연장…정부, 설 민생안정대책 발표 - 경향신문 (khan.co.kr)
 


2024년 부모급여 최신 정보

부모급여 지급액 인상

2024년부터 부모급여가 인상됩니다. 만 0세 아동의 가정은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의 가정은 월 5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지급 방법 및 시기

부모급여는 매월 25일 신청 계좌로 입금됩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바우처로 지원받으며, 차액은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지원 대상 및 조건

지원 대상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세 미만의 아동입니다.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아동이면 지원받을 수 있으며, 부모가 외국인이어도 아동이 한국 국적이면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부모급여는 복지로 또는 정부24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출생한 달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첫만남이용권도 인상되어, 2024년부터는 첫째 아동에게는 200만 원, 둘째 이상은 300만 원으로 지원됩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부모들이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복지서비스 상세(중앙) (bokjiro.go.kr)
https://youtu.be/or3egN6Yu1c?feature=shared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