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신생아 특례대출 개요
자격 조건
- 대상: 대출 신청일로부터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
-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소득 1.3억 원 이하
- 자산 기준: 순자산가액 4.69억 원 이하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한도: 5억 원
- LTV (대출 대비 주택 가치 비율): 일반 70%, 생애최초 구매자 80%
- DTI (부채 상환 비율): 60%
- 대출금리: 연 1.6%~3.3%,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

- 추가 출산 시 금리 인하: 신생아 1명당 0.2% 금리 인하, 최대 15년까지 연장 가능
대출 신청 방법
- 온라인: 주택도시기금 '기금e든든' 홈페이지
- 대면 신청: 관련 은행 방문
특별 고려 사항
- 청약 가입 기간에 따른 우대금리: 5년 이상 가입 시 0.3% 등 추가 우대금리 혜택 가능
- 기존 자녀: 기존 자녀 1명당 0.1% 우대금리 적용
- 실거주 의무: 대출 이후 주택에 실제 거주해야 함
주의 사항
- 금리 조건 만료 시: 기존 금리 대비 약 0.4% 추가금리 적용 가능
- 주거 면적 기준: 수도권 85㎡ 이하, 비수도권 100㎡ 이하 주택
신생아 특례대출은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지원 정책으로, 출산 가정을 주 대상으로 합니다. 대출 조건 및 금리, 그리고 신청 방법 등을 꼼꼼히 확인하여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대출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대출 안내 < 신생아 특례 버팀목대출 < 주택전세자금대출 < 개인상품 | 주택도시기금 (molit.go.kr)
주택도시기금 '기금e든든' 홈페이지
반응형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법 재건축 용적률 상향과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법의 파급효과 분석 (0) | 2024.02.07 |
---|---|
서울 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 개요 및 최신 사례 분석 (0) | 2024.02.07 |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 발표 (0) | 2024.02.06 |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및 모아타운 사업의 이해와 전망 (0) | 2024.01.28 |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논의: 최신 부동산 정책 동향 및 전망 (2)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