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개혁안 뜨거운 논의 예고🔥
국민연금 보험료율 및 소득대체율 개편 방안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연금특위)의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을 현재의 9%에서 최대 13%로, 소득대체율을 40%에서 최대 50%로 상향 조정하는 두 가지 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점을 연장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1안은 기금 고갈을 2062년으로, 2안은 2063년으로 미루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방송을 통한 국민 대표단의 논의
2023년 4월 13일부터 21일까지 국민 대표단 500명이 참여하는 생방송 논의가 4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입니다. 논의되는 주제는 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 수급개시연령, 국민연금 의무 가입 연령, 퇴직연금 및 직역연금과의 관계, 기초연금 개편 등 총 7가지 입니다.
연금개혁의 긴급성과 방향성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연금개혁을 '3대 개혁' 중 하나로 삼고, 이를 추진해왔습니다. 현재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유지할 경우, 2055년에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를 막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시되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의무 가입 연령을 현재의 만 60세 미만에서 만 65세 미만으로 상향 조정하는 안과 기초연금 개편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후속 절차
공론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단일안을 바탕으로, 21대 국회 마감 전인 5월 29일에 연금개혁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공론화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미래 세대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연금개혁안 2개 압축…'더 내고 더 받기', '조금 더 내고 그대로 받기'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2023년 연금개혁안 주요 내용 요약 🕰️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개혁안
2024년, 한국 정부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에 대한 중대한 개혁안을 제안했습니다. 이 개혁안들은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 강화와 재정 안정화를 목표로 합니다.
국민연금 개혁안
- 보험료율 인상: 현재 9%인 보험료율을 최대 15%까지 올리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 수급 개시 연령 조정: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을 상향 조정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보류되었습니다.
- 감액제도 폐지: 국민연금 가입자의 수급 이후 생기는 소득에 따른 연금수급액 차감 제도가 폐지될 예정입니다.
- 저소득층 지원 확대: 저소득층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50%까지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됩니다.
기초연금 개혁안
- 지급 금액 인상 및 수급 범위 조정: 기초연금의 지급 대상을 현재의 소득 하위 70%에서 50%로 축소하고, 지급 금액을 월 40만 원으로 인상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 재정 부담 완화 방안: 기초연금의 지급 범위 축소와 함께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혁안은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하고 재정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다양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최종 결정될 예정입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들을 위한 새 보금자리, 실버타운에서 두 번째 봄을 맞이하세요 (0) | 2024.03.31 |
---|---|
양육비 선지급제: 자녀 양육에 숨통 틔우기 🍼 (0) | 2024.03.28 |
2년 더 기다릴게요, 택배 포장📦 너무 많이 하지 말아요~ (0) | 2024.03.12 |
한국의 돌봄 인력난 해결책, 외국인 노동자 도입을 고민하다 🤔💡 (0) | 2024.03.07 |
👵💼 고령화 사회, 돌봄산업의 과 암 그리고변화하는 돌봄 산업 희망찬 미래까지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