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폐점 현황 및 원인

대전 대형마트 폐점

  • 대전에서는 롯데마트 동대전점, 홈플러스 탄방점, 홈플러스 둔산점, 홈플러스 동대전점이 폐업했습니다.
  • 대형소매점 판매액 비중에서도 대형마트의 비중이 급감했습니다(2020년 51.4%에서 2022년 35.3%로 감소).
  • 폐점 원인: 지역 내 대형유통점 과잉 공급과 인구 감소 및 구매력 감소로 인한 수요감소.
  • 대형마트 폐점으로 인한 상권침체 우려.

부산 대형마트 폐점

  • 부산에서도 롯데마트와 홈플러스, 메가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 6곳이 최근 폐점하거나 폐점을 앞두고 있습니다.
  • 의무휴업과 같은 대형마트 규제에 대한 부산 시민들의 의견은 긍정적이지 않았으며,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지지하는 시민이 많았습니다.
  • 폐점한 대형마트 인근의 전통시장에서도 유동인구 감소와 상권 침체를 우려했습니다.

전국 대형마트 폐점 현황

  • 2016년 383개였던 전국 대형마트 수는 2023년 353개로 감소했습니다.
  • 홈플러스는 주요 지역 점포를 잇달아 매각하며 폐점했습니다. 가장 최근의 신규 출점은 2016년 경기 파주운정점이었습니다.
  • 이마트와 롯데마트도 여러 점포를 폐점하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최근 폐점 동향

이마트는 2023년 4개의 점포를 폐점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국에 있는 이마트 점포 수는 총 132개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이마트 역사상 연간 최대 규모의 폐점으로 기록됩니다.

이마트 이수점 및 광명점 폐점

이마트는 이수점과 광명점을 폐점하고, 이를 기업형 슈퍼마켓(SSM)인 '이마트 에브리데이'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마트 에브리데이는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성장을 보이며, 대형마트보다 효율적인 운영 모델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마트 상봉점 폐점

이마트 상봉점은 24년 만에 폐점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이마트의 전략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의 다양한 포맷 중 최적화 모델을 검토하고 조정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부산 시민 60% “의무휴업 필요 없다”...대형마트는 줄폐점 (koreadaily.com)

23년 해운대 '터줏대감' 문 닫았다…400개도 안남은 대형마트 | 중앙일보 (joongang.co.kr)

[단독] 바로 옆이 코스트코… 이마트 상봉점, 24년만에 폐점 - 조선비즈 (chosun.com)


식품 사막(Food Desert) 정의 및 원인

식품 사막이란?

식품 사막은 주민들이 건강한 식품에 접근하기 어려운 빈곤 지역을 말합니다. 이러한 지역은 농촌이나 도시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복잡한 지리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식품 사막은 영양가 없는 식단과 건강 문제(예: 비만)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식품 사막의 대부분 지식은 영국과 미국의 연구에서 나왔으며, 이 용어는 1990년대 초 서부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식품 사막의 원인

식품 사막의 형성 이유로는 큰 체인 슈퍼마켓의 확장이 작은 식품점들을 대체하고, 1970년대-1980년대 도시 내부 인구의 변화 등이 제시됩니다. 또한, 슈퍼마켓의 '레드라이닝'(특정 지역에서 슈퍼마켓이 철수하거나 진출을 꺼리는 현상)도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됩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특정 지역에서 슈퍼마켓의 접근성을 감소시키고, 교통수단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식품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식품 사막의 영향 및 대응

식품 사막의 영향

식품 사막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건강에 좋지 않은 가공식품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당뇨병 및 고혈압과 같은 질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식품 사막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건강한 식품 선택이 제한되어 있으며, 비싼 가격으로 인해 건강한 식품을 구입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가난과 소비

자 교육 증진이 필요하며, 지역 상권의 지원과 더불어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식품 사막에 대한 대응

식품 사막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제안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는 더 많은 슈퍼마켓을 설립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0년 연구에서는 피츠버그의 한 식품 사막 지역에 새로운 슈퍼마켓이 들어온 후 SNAP(Supplemental Nutritional Assistance Program) 참여자들의 식단 질이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슈퍼마켓이 항상 식단 건강을 개선하는 것은 아니며, 건강한 식품 선택이 더 넓게 제공될 때도 소비자들은 종종 건강하지 않은 식품 선택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슈퍼마켓을 늘리는 것 이상의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가난을 해결하고 소비자 교육을 증진시키는 노력도 중요합니다.

Food desert | Causes, Effects & Solutions | Britannica

Food desert - Wikipedia

식품사막(food deserts)을 아십니까? | Redian


한국의 식품 사막화 현상

한국에서 나타나는 식품 사막화

  • 한국에서도 최근 식품 사막화 현상의 그림자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형마트 위주로 형성된 상권에서 대형마트가 폐점하면서 주민들이 적절하게 장을 볼 수 있는 곳이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폐점한 이마트 부평점과 관련한 연구 결과에서 폐점 이후 주변 상권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식품 사막화의 심각성

  • 식품 사막화는 주로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 나타났으나, 한국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노인과 장애인과 같은 소외계층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전주 인근 완주 지역에서는 도보로 50여 분이 소요되는 거리에 있는 대형마트나 시장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응 방안

  • 식품 사막화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지역에서는 '찾아가는 행복 장터'와 같은 이동형 마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동형 마트는 지자체, 농협 지점, 농협중앙회 등이 함께 예산을 투입하여 운영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특히 교통 환경이 열악한 시골 마을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결론

한국에서도 식품 사막화 현상이 점점 더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대형마트 폐점으로 인해 주변 상권이 영향을 받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노인과 장애인과 같은 소외계층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이동형 마트와 같은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https://youtu.be/2ZYsrpncqtA

마트 없고 배송도 안돼… 전국 곳곳 ‘식료품 사막’ (chosun.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