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열파: 바다의 폭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해양 열파는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뚜렷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5일 이상 지속되는 해양 온도 상승을 의미하며,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 이상 상승하면 해양 열파로 간주됩니다.
해양열파의 특성과 영향
해양열파는 지구 온난화에 따라 그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해에서는 위성과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1982년부터 2018년까지의 해양열파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한국해의 해양열파는 동해, 황해, 동중국해 순으로 지속 시간이 길며, 특히 동해의 동한만과 극전선 주변에서는 평균 17일 이상 지속되는 장기 해양열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해양열파는 여름철에는 운량 감소, 바람 약화, 남풍 증가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운량 감소와 난류 유입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해양열파가 바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해양열파는 바다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장기간 비정상적으로 높은 해수 온도는 새와 어류, 해양 포유류의 폐사율을 높이고, 녹조와 같은 해로운 조류의 번식을 유발하며, 해양 영양분 공급을 크게 감소시킵니다. 이로 인해 산호 백화 현상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어류들이 더 차가운 바닷물로 이동하게 만들며, 극지방의 만년설 면적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해양열파의 미래와 대책
해양열파의 발생 빈도와 강도는 지난 4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의 직접적인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기후 변화가 해양열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주요 해양열파는 인간의 영향으로 20배 이상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야심 찬 기후 목표를 설정하고 지구 온난화를 제한하는 것이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입니다.
[보고서]한국해 해양열파 특성 및 변동성 (kisti.re.kr)
[동향]‘해양 열파’로 바다 생태계 소멸 (kisti.re.kr)
2024년 해양 열파, 어디까지 왔나? 🌊
해양 열파의 현황과 전망
2024년, 해양 열파는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하여 전 세계 바다의 약 41%를 덮었습니다. 이는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로 기록되었으며, 특히 동태평양, 미국 서해안, 일본 해, 대서양의 여러 부분, 인도양 및 남극해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열파는 해양 생태계와 연안 공동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어류, 해양 포유류, 해조류의 대량 폐사, 식량망 교란, 산호 백화, 유해 조류 번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7†출처】.
미국 오리건 및 워싱턴 연안에 도달한 대규모 해양 열파는 해양 생태계 및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해 조류 번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NOAA 연구소는 이러한 해양 열파와 그 영향을 추적하고 있으며, 엘니뇨 기후 패턴의 예상 영향과 결합될 수 있습니다.
해양 열파 예측 및 대응
해양 열파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어업, 해양 관리자, 연안 공동체가 이러한 사건들의 다양한 영향에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NOAA의 물리과학 연구소는 엘니뇨 남방 진동과 관련된 기간 동안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인도-태평양 지역, 캘리포니아 해류 시스템, 브라질 북부 해류 등에서 높은 예측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현재, 전 세계 해양의 41%가 해양 열파 조건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엘니뇨 사건과 관련된 열대 태평양에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북태평양, 열대 대서양, 카리브해, 인도양, 남극해 등에서 열파 조건이 지속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Marine Heatwaves : NOAA Physical Sciences Laboratory
Global ocean roiled by marine heatwaves, with more on the way - NOAA Research
Large Marine Heatwave Reaches Oregon and Washington Coasts | NOAA Fisheries
2024년 바다숲 사업으로 탄소중립에 기여하자! 🌊
바다숲이란?
바다숲은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해조류 숲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입니다. 이는 탄소 흡수와 같은 중요한 환경 기능을 수행하여 지구 온난화와 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바다숲의 역할
- 탄소중립 기여: 해양수산부는 바다숲과 갯벌을 블루카본 타깃으로 설정하여 탄소 흡수 목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탄소흡수력 조사: 한국수산자원공단은 포항공과대학교와 함께 바다숲의 탄소흡수력을 조사하여, 바다숲 1ha당 연간 약 3.4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미래 전망
- 국제 교류와 세미나: 바다숲의 블루카본 인증과 관련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여, 바다숲의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공유하고 인정받으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바다숲 사업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자원공단이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지속 가능한 해양 관리와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다숲이란 무엇일까요? 🌊
바다숲의 정의와 필요성
바다숲은 육지의 산림처럼 대형 바닷말이 번성하여 이룬 군락으로, 다양한 바다생물을 잉태하고 보호하는 안식처입니다. 이는 건강한 바다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산생물의 산란과 서식처 제공, 해양수질 정화, 저질 안정화, 이산화탄소 흡수원 등 다양한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심미적 가치를 제공합니.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바다숲의 기능이 상실되어 바다사막화라고도 불리는 상황이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갯녹음은 수온 상승, 과도한 연안 개발 등으로 자연 암반에 서식하는 해조류가 사라지고 무절석회조류가 암반의 표면을 뒤덮은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현상입니다.
바다숲 조성 방법
바다숲 조성을 위한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종묘이식, 수중저연승, 모조주머니 사용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바다숲을 만들고 있으며, 이는 갯녹음 현상에 대응하고 생태계를 되살리기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예를 들어, 다년생 해조류를 어초에 이식하거나, 로프에 양식된 해조류를 어초 사이에 고정시켜 바다숲을 조성합니다.
바다숲의 중요성
바다숲은 해조류 및 해초류가 바닷속에서 무성히 숲을 이루며, 수산생물의 산란지 및 서식처, 해양 수질 정화 등에 기여합니다. 한국수산자원공단은 갯녹음 확대를 예방하기 위해 바다숲 조성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인공어초 시설사업과 함께 해양 생태계의 복원과 보호를 목적으로 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온이 상승하면서 해양 생태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바다숲 조성과 같은 환경 보호 및 복원 작업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해양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한국수산자원공단_사업소개 > 바다숲 조성사업 > 바다숲 사업 배경 (fira.or.kr)
바다숲을 만드는 한국수산자원공단 : 기후변화 다양한 이야기 (climatuscollege.org)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방법 알아보기 🌊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
바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자연의 탄소 싱크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다는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약 25%를 흡수하며, 이는 매년 2페타그램 이상의 탄소에 해당합니다. 특히 남반구 여름 동안 남극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강력한 탄소 싱크 역할을 한다는 것이 항공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흡수 증진 방안
- 해양 기반 이산화탄소 제거 방법: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화학적, 전기화학적 개념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안 청색 탄소 생태계 복원, 대규모 해조류 재배, 해양 알칼리화 증진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지역적 또는 계절적인 해양 산성화 완화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플랑크톤의 역할: 플랑크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해저로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양의 생물학적 탄소 펌프 추정치는 기존 연구보다 약 20% 높은 연간 15기가톤에 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해양 이산화탄소 흡수의 중요성
이산화탄소 흡수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해양 산성화를 늦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양 산성화는 해양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궁극적으로 인간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이해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중요합니다.
How the Ocean Can Help Absorb CO2 | World Resources Institute (wri.org)
Carbon Dioxide Removal - NOAA Ocean Acidification Program
Plankton Power: Unlocking the Ocean’s Hidden Carbon Storage Capacity (scitechdaily.com)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미국 국방부와 롤스로이스의 핵심적인 협력🔋 (0) | 2024.03.14 |
---|---|
토요타와 GAC의 혁신, 탄소 절감을 이끌 암모니아 엔진 🚗💨 (0) | 2024.03.09 |
AI와 에너지의 미래, 함께 해결해요! 💡🌱 AI 전력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찾아서 (0) | 2024.03.05 |
토륨의 힘으로 미래를 밝히다! 🌈 액체 불화 토륨 원자로(LFTR), 우리가 주목해야 할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 🚀 (2) | 2024.03.04 |
용융염 원자로가 온다! 핵에너지의 새 바람을 맞이해요 🌈💡 (0) | 2024.03.01 |